От Ильича до Ильича
by sonnet 2006 이글루스 TOP 100 2007 이글루스 TOP 100 2008 이글루스 TOP 100 2009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 100 2011 이글루스 TOP 100
rss

skin by 이글루스
위신투쟁
독일이 처음 통일되기 전 독일지역의 주도권을 놓고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이 주도권을 다투던 시절 이야기.


--
… 오히려 상황을 더 가속화하기라도 하듯, 소위 ‘위신 투쟁’이라 불리는 사건까지 일어났다. 그것은 연방회의 석상에서 오스트리아 측만 담배를 피던 관례를 비스마르크가 깨버린 때문이었다. 비스마르크가 ‘왜 담배를 피우면 안 되는가?’라고 반문하면서 의장에게 직접 불을 청해 담배를 피움으로써 불거진 사건이었다. 그의 선임자이던 로코프는 열렬한 애연가였음에도 그런 전통 아닌 전통을 깨트리지 못했고, 그럴 용기조차 내지 못했다.

때마침 군 위원회 회의석상에서 벌어진 예상치 못한 비스마르크의 행동은 연방 내 동료들에게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의장은 물론 다른 의원들까지 놀라움과 불쾌감을 금치 못하는 기색이었다. 프로이센까지 담배를 피우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다른 국가 대표들은 서로 눈치를 보았다. 심지어 그 일을 각자 본국에 보고하여 자신의 행동 지침을 청할 만큼 예사롭지 않은 ‘국사’로 발전되었다. 결국 각국이 그 결과를 심각하게 고려하는 가운데 두 강대국만이 반년 가까이 담배를 피우는 형국이었다.

그 이후 바이에른 대사 슈렌크(Karl von Schrenkh)가 담배를 피움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부각시켰다. 작센의 노스티츠(Julius Gottlob von Nostitz) 또한 큰 기대를 걸었으나, 내각의 허락을 받아내지 못해 시도조차 못했다. 그러다 하노버 대사 보트머(Bothmer)가 담배를 피우는 것을 본 노스티츠는 레히베르크-로텐뢰벤(Johann Bernhard von Rechberg-Rothenlöwen, 1806-1899)과 논의한 끝에 자신의 말대로 칼집에서 칼을 빼는 기분으로 그 다음번 회의석상에서 과감하게 실행에 옮겼다.

그 일로 인한 신경전은 이후 시간이 꽤 지나도록 계속되었다.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는 국가의 대표들과 뷔르템베르크와 헤센-다름슈타트의 대표들만이 남게 되었으나, 이들 국가의 명예와 자존심을 감안한다면 ‘거행’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었다. 결국 뷔르템베르크 대표는 그 다음번 모임에서 담배 하나를 꺼내 물고 절반 정도를 피움으로써 ‘조국을 위해 담배를 피우는 희생자’로서의 전력을 남겼다. 비스마르크에 대한 경쟁의식이 그리 강하지 못했던 헤센-다름슈타트 대사만이 끝까지 금연을 지켰다.

이상의 담배 사건은 한낱 일화에 그치고 말 일은 아니었다. 각국을 대표하는 대사들 사이에서조차 한동안의 신경전 끝에 새로운 전례를 만들어낼 정도로 그 결과는 비스마르크가 아니면 누구도 엄두를 내지 못할 일이었고, 그 여파도 상상 외로 컸다. 이 담배 사건은 ‘위신 투쟁’인 동시에 그 배후에는 [프로이센이 오스트리아와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이원주의를 향한 비스마르크의 강한 의지가 담겨 있었다.

강미현. 『비스마르크 평전 : 비스마르크 또다시 살아나다』. 1st ed. 서울: 에코리브르, 2010. pp.307-308




어릴 때 아동용 전기를 보면서 '배짱의 비스마르크'를 각인시켰던 장면인데, 이번에 좀 더 자세한 묘사를 보니 양대 강국은 그렇다 치고 그 밑에 있던 약소국들의 처신이야말로 깊은 공감을 느끼게 한다.
by sonnet | 2011/09/22 12:51 | 정치 | 트랙백 | 핑백(1) | 덧글(24)
트랙백 주소 : http://sonnet.egloos.com/tb/4626358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Linked at a quarantine sta.. at 2012/01/01 00:45

... 뉴스비평(23회) | 메르켈, 우리의 노선은 '정면돌파' 2위: 세계(7회) | 리비아 진탄의 혁명전사들, 임시정부군과 충돌 3위: 역사(2회) | 위신투쟁 4위: 인문사회(1회) | 오늘의 한마디(Machiavelli) 가장 많이 읽힌 글은 이집트 사태, 1라운드 ... 입니다. 가장 대화가 활발 ... more

Commented by 키치너 at 2011/09/22 13:02
‘조국을 위해 담배를 피우는 희생자’ 라니.... 눈물 나는 군요...
Commented by 몽달곰팅 at 2011/09/22 13:04
와 처절하게 공감되네요. 약소국의 처신이 진짜 긴장감있게 그려지네요
Commented by Allenait at 2011/09/22 13:04
아. 그 비스마르크의 담배사건이로군요. 당당하게 불좀 빌려달라고 한게 맞나 모르겠습니다
Commented by jane at 2011/09/22 13:14
담배를 핵으로 바꾸니 저에겐 더 절절히 다가옵니다(...)
Commented by asianote at 2011/09/22 13:15
관례라는 걸 깨는 것도 역시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겠습니다. 뭐 시오노 나나미가 인용한 베네치아의 외교관 조반니 다리오의 이런 발언이 있습니다. (기억에 의존하는지라 아주 정확하지는 않겠으나 이런 뉘앙스는 분명할겁니다.)

- 양식이란 것은 힘이 약한 자가 어쩔수 없이 지키는 것입니다. 힘이 강한 자는 양식적으로 행동하든 비양식적으로든 행동할 수 있으니까요.
Commented by nishi at 2011/09/22 13:17
담배 못 피우거나 기관지가 약한 외교관에겐또 고역이겠군요.
Commented by 카린트세이 at 2011/09/22 13:22
혹시 다른나라 눈치를 본다고 담배를 꺼내면서 손을 떨었다거나 하는 경우는 없었으려나요(....)

생각해보면 저런 자리에서의 '액션'이야말로 담대하고 과감하게 해야 할 일이니 저같은 사람은 아마 죽었다 깨어나도 못할듯 싶습니다..
Commented by marlowe at 2011/09/22 13:25
관례를 만드는 것도 깨는 것도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군요.
저는 비흡연자라 흡연자들과 있는 게 고역인 데 (상대가 담배를 안 피워도),
바둑 대국 시 금연시행으로 흡연기사들이 힘들었다는 얘기가 떠오르네요.
Commented by 누군가의친구 at 2011/09/22 14:12
그놈의 담배하나 핀거 때문에 사람들을 고뇌에 빠뜨리게 만들다니...

비스마르크는 역시나 보통 사람이 아님을 알수 있네요.
Commented by 일화 at 2011/09/22 17:40
군대에서 침상에 편하게 기대 앉아 있을 수 있는 계급이 상병달고 부터냐, 꺾어진 이후냐 논쟁을 보는 듯 하네요. 역시 사람들끼리 모여있으면 사소한 것으로 서열을 가시화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듯 합니다.
Commented by Cene at 2011/09/22 18:08
저도 딱 그생각이 나네요
파레토 법칙이던가
Commented by maxi at 2011/09/22 19:40
오늘 도서관에서 빌린 책에 1952년에서야 공개된 비스마르크의 임종사진을 발견했습니다.
이런 패기를 가지신 분도 말년은 참 불우하셧더군요(먼산)
Commented by akashic at 2011/09/22 21:48
어쨌거나 다른 국가보다 먼저 무언가 내세우게 된 이상, 독일 내의 다른 국가나 오스트리아에게도 프로이센이 통일에 대한 주도권을 확실히 잡고 있다는 인상을 더 깊게 새겨주었을 만한 사건인가요.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더 노려서 저질렀다면, 비스마르크가 확실히 주도면밀하긴 한 것 같습니다.
Commented by 瑞菜 at 2011/09/22 23:03
"어이, 아저씨! 불 좀 빌립시다."

사실 오스트리아 뺀 나머지 독일 연방 떨거지 중 왕초가 프로이센이긴 하지만,
그래도 아직은 오스트리아와 맞담배 필 수준은 아니었는데,
아직 무명에 가까운 비스마르크의 대담함은 역시 감성대인배의 기질을 보여줍니다.
Commented by 행인1 at 2011/09/22 23:40
나중에 가면 (국가 체면상)거의 싫어도 피워야 하는 상황이 되는군요.
Commented by ttttt at 2011/09/23 05:06
오스트리아대사가 '상국질'을 하던 시절이군요. ㅋㅋ
저도 저거 참 통쾌하게 생각했는데, 그 뒤에 뒤에 저런 사연이 있었다니. 잘 읽었습니다.^^
Commented by 5인치양용포 at 2011/09/23 09:31
비흡연자들 다 죽게 생겼다 비스마르크 이놈아!

…단순한 흡연행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강한 국가적 의지의 표현. 외교라는 건 참 속이 깊은 분야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비스마르크가 그만큼 평가받는 것 같기도 하고 말이죠. 개인적으로는 그의 업적 중 가장 위대한 건 외교 분야에서 이룬 성과라고 봅니다. 솔직히 프로이센, 나아가 독일이라는 나라가 외교적인 우위를 점한 게 철혈재상께서 활약하던 이 때 말고 있는지 모를 정도니…(나폴레옹 전쟁 끝나고선 이겨놓고서도 탈레랑한테 털리고, 비스마르크 사후에는 수십년간 아예 유럽 공인 왕따 수준).
Commented by 알츠마리 at 2011/09/23 09:37
.......약소국 대사들에게는 담배를 태우는 게 아니라 국가의 생명을 태우는 느낌이었을 듯 하네요.-_-;

'너무 맛있게 태우는 것처럼 보이는 건 아니겠지? 미운 털 박히면 안되는데.'

'최대한 평범하게 보여야지.'

'에이~C 까짓거. 한 번 죽지 두 번 죽나.'

'두 명만 더 피우면 그 때 피우자.'

....
Commented by 지나가던과객 at 2011/09/23 10:51
nishi/ 그럴 경우를 위해 씹는 담배라는 게 있습죠.
그런데 씹는 담배는 이미지가 웬지 하층민들이 많이 소비하는 느낌이라 저런 자리에서 사용하기 힘들겠네요.
Commented by ttttt at 2011/09/23 13:36
중요한 건 행위로 표현하는 의사지 니코틴 섭취가 아니니까요. ㅎ
Commented by 학상 at 2011/09/24 03:13
저도 제대한 연차가 얼마되지 않아 바로 '악폐습 철폐'를 구실로한 내무실 권력투쟁이 떠올라 버렸습니다. 내무실 신 권력과 구 권력이 충돌할 때 세력이 약한쪽(주로 신 권력)이 써먹는 방법이 바로 이 '악폐습 철폐'인데... 다른 '아래 친구들'이 어떻게 움직이느냐 혹은 아주 윗선(간부들)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서 결과가 확확 갈리더군요.

비스마르크의 '위신투쟁'도 구권력 오스트리아에 대한 신 권력 프로이센의 도전을 다른 방향에서 지른 것이고, 여기에 '윗선'이라 할 독일국민회의나 프랑스등 타 유럽열강들의 방관, 그리고 '아래 친구들'이라 할만한 타 제후국들의 '불편한 동조'로 결국 구 권력의 권위에 무시할 수 없는 생채기를 낸 것이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제가 맞게 유추했나요?)

저는 이 책을 군대 말년에 '앵겔스 평전'이랑 같이 봤는데, 부대 정훈장교가 '해리성 다중인격 장애가 오는 것 같은디 정보사나 기무대 보다는 수통 정신과에 신고해야 쓰겄다.'라고 코멘트를 날렸던 경험이 있습니다. 물론, 다행히도 무사제대!
Commented by 삼천포 at 2011/09/25 02:37
잘읽었습니다
Commented by 파파라치 at 2011/09/29 10:30
그리고 소심한 헤센은 보-오 전쟁때 오스트리아에 붙었다가 프로이센에 털리고...
Commented by 꼬맹이삼촌 at 2011/10/07 11:18
헐 이렇게 재미있는 일이....

:         :

:

비공개 덧글

<< 이전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