От Ильича до Ильича
by sonnet 2006 이글루스 TOP 100 2007 이글루스 TOP 100 2008 이글루스 TOP 100 2009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 100 2011 이글루스 TOP 100
rss

skin by 이글루스
프랑스,독일,이탈리아 인질석방에 거액의 몸값을 지불(재탕)
예전에 소말리아 선원 인질사건 당시에 소개했던 것인데 참고삼아 다시 올려 봅니다.

--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가 인질 석방에 실력을 발휘하는 것은 뒷구멍으로 납치범들에게 거액의 돈(1인당 250만-1천만 달러)을 집어주고 빼왔기 때문이라는 영국 더 타임즈의 폭로 기사입니다.
이 이전에도 독일 등이 몸값을 지불했을거라는 보도는 독일 언론 등을 통해 간간히 보도되어 왔으며, 독일 주재 이라크 대사도 이러한 관행에 대해 비판한 바 있습니다.

특공대를 투입해서 납치범들을 일망타진하고 인질들을 무사히 구출하는 것은 멋있기는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너무 난관이 많아 극히 드물게 실시되며, 좋은 정보와 기회가 주어진다면 생각해 볼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엔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현지에 15만 가까운 연합군 병력이 배치된 이라크에서도 납치된 250명 이상의 외국인 중 구출작전으로 구해낸 것은 단 여섯명(반면 협상 등을 통해 석방된 사람은 135명)뿐이라는 사실이 이 점을 아주 잘 보여줍니다.

기사 맨 끝에 인질구출에 관한 유럽 각국의 말과 행동, 그리고 성적표를 첨부한 것이 이 기사의 가시를 잘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How $45m secretly bought freedom of foreign hostages
Documents seen by The Times show three countries paid ransoms in spite of denying it in public
* Writer: Daniel McGrory
* Source: The Times
* Date: May 22, 2006

FRANCE, Italy and Germany sanctioned the payment of $45 million in deals to free nine hostages abducted in Iraq, according to documents seen by The Times. All three governments have publicly denied paying ransom money. But according to the documents, held by security officials in Baghdad who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hostage negotiations, sums from $2.5 million to $10 million per person have been paid over the past 21 months. Among those said to have received cash ransoms was the gang responsible for seizing British hostages including Kenneth Bigley, the murdered Liverpool engineer.

The list of payments has also been seen by Western diplomats, who are angered at the behaviour of the three governments, arguing that it encourages organised crime gangs to grab more foreign captives.

“In theory we stand together in not rewarding kidnappers, but in practice it seems some administrations have parted with cash and so it puts other foreign nationals at risk from gangs who are confident that some governments do pay,” one senior envoy in the Iraqi capital said.

More than 250 foreigners have been abducted since the US-led invasion in 2003. At least 44 have been killed; 135 were released, three escaped, six were rescued and the fate of the others remains unknown.

A number of other governments, including those of Turkey, Romania, Sweden and Jordan, are said to have paid for their hostages to be freed, as have some US companies with lucrative reconstruction contracts in Iraq. At least four businessmen with dual US and Iraqi nationality have been returned, allegedly in exchange for payments by their employers. This money is often disguised as “ expenses” paid to trusted go-betweens for costs that they claim to incur.

The release this month of Rene Braunlich and Thomas Nitzschke, two German engineers, for a reported $5 million payment prompted senior Iraqi security officials to seek talks with leading Western diplomats in the capital on how to handle hostage release.

When the men returned home, Alaa al-Hashimi, the Iraqi Ambassador to Germany, revealed that the German Government handed over “a large amount” to free the pair after 99 days in captivity. The kidnappers are understood to have asked for $10 million.

Liam Fox, the Shadow Defence Secretary, called last night for an immediate end to the practice. “The idea that Western governments would have paid ransoms is extremely disturbing,” he said. “It is essential that governments never give in to blackmail from terrorists or criminals if security is ever to be maintained.”

Michael Moore, a Liberal Democrat foreign affairs spokesman, said: “These governments have created a kidnappers’ charter. Everyone from outside Iraq working in the country becomes more vulnerable as a result.”

Police say that about 30 people a day are abducted in Baghdad. Most Iraqis taken are returned once their families pay a ransom. An Iraqi counter-terrorism official, who asked not to be named, said that local experts are usually excluded from negotiations involving Westerners. He said: “Too often governments and their military keep secrets from each other , and certainly from us, and do what they want including paying out millions, no matter what their stated policy on ransoms.”

Western diplomats claim that the reason for their secrecy is the suspicion that some in the Iraqi security apparatus are too closely associated with militias and some of the criminal gangs to be trusted.

The family of Bayan Solagh Jabr, who was Interior Minister until the announcement on Saturday of a provisional government, was among the victims of the kidnap gangs when his sister, Eman, was abducted in January. She is said to have been freed a fortnight later after a ransom was agreed. Mr Jabr is now Finance Minister.

The mutual distrust is hindering efforts to wage an effective war against the underworld gangs responsible for most of the abuctions of Westerners, the Baghdad official said.

At least two crime gangs are alleged to have sold on some of their foreign captives to militant groups who use the hostages for propaganda purposes rather than obtaining ransoms.

Britain has never paid to free its citizens, despite pressure from the employees of some hostages, but is understood to have paid intermediaries “expenses” for their efforts to make contact with the kidnappers.

British officials have been criticised for giving the kidnappers of the peace activist Norman Kember time to escape to avoid the risk of a gun battle with Special Forces troops sent to rescue him and his two fellow captives from a house in central Baghdad in March.

Only when Jill Carroll, an American journalist, was freed eight days later did intelligence experts discover that she had been held by the same notorious crime family, who were working with Abu Musab al-Zarqawi, the wanted al-Qaeda leader in Iraq. That revelation infuriated US officials in Baghdad, who had let Britain take the lead in tracing and freeing Professor Kember, 74, and his two Canadian colleagues.

FBI agents are investigating claims that this gang sold some of its hostages, including American contractors and aid workers, to militant Islamic groups. The gang is reported to have had a hand in organising the abduction of three British hostages, Margaret Hassan, Mr Bigley and Professor Kember, and three Italian journalists.

Figures involved in secret talks to resolve hostage cases told The Times that Mrs Hassan, an aid worker who had converted to Islam and taken Iraqi citizenship, was murdered soon after Tony Blair made it clear in a television broadcast seen on an Arab satellite channel that the Government would not pay a ransom. Wealthy benefactors had signalled their readiness to pay for her release.

A key figure in brokering some of the deals has been Sheikh Abdel Salam al-Qubaisi, a militant Sunni cleric and senior figure in the Association of Muslim Scholars. Professor Kember and his party had just visited the group when he was abducted last November.

WHAT THEY SAID

FRANCE

When Florence Aubenas was freed in June 2005 a government spokesman, Jean-François Cope, said: “There was absolutely no demand for money. No ransom was paid”

ITALY

On January 30 this year Gianfranco Fini, then Italian Foreign Minister, denied that Italy paid between $6m and S10m to free Giuliana Sgrena. “Italy did not pay any ransom to obtain the freedom of Giuliana Sgrena in Iraq or any other hostage. There is never a quid pro quo”

GERMANY

Frank Walter Steinmeier, the German Foreign Minister, was asked if paying a ransom for Susanne Osthoff had compromised the security of other German hostages. He replied: “The problem is not ransom payments, but the reporting of them.” That was seen in Germany as indirect confirmation that ransoms were paid

WHAT THEY PAID

FRANCE $25 million

* Florence Aubenas: held for 157 days, freed June 2005. Ransom $10 million
* Christian Chesnot and Georges Malbrunot: freed December 2004. Ransom $15 million

ITALY $11 million

* Giuliana Segrena: taken February 2005, freed March 2005. Ransom $6 million
* Simona Pari and Simona Torretta: taken September 2004, freed 20 days later. Ransom $5 million.

GERMANY $8 million

* Susanne Ostloff: taken November 25, 2005, and freed three weeks later. Ransom $3 million
* Rene Braunlich and Thomas Nitzschke: taken January 24, 2006, and freed on May 2. Ransom $5 million.

BRITAIN No ransom paid

* Kenneth Bigley: taken September 16, 2004; seen being beheaded on video released on November 16
* Margaret Hassan: abducted October 19, 2004; murdered on November 16
by sonnet | 2007/07/26 20:44 | 정치 | 트랙백(3) | 핑백(5) | 덧글(24)
트랙백 주소 : http://sonnet.egloos.com/tb/3304582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Tracked from 도야지의 잡담 at 2007/07/27 09:42

제목 : 선진국, 테러와 '협상'은 안한다.
프랑스,독일,이탈리아 인질석방에 거액의 몸값을 지불(재탕)sonnet님 이글루에서 트랙백...그냥 자신의 머리속에 있는 말들을 객관적인 자료가 있는 것처럼 말하는 경우가 있다. 뭐... 자신의 말을 증명하기 위해서라면 어쩔수가 없는데... 아래 포스팅에도 썼지만 상황이 예민한 문제에서 만큼은 서로 예의를 지키고 확실한 자료만을 가지고 이야기 했으면 좋겠다. 지속적으로 이번 피랍사태의 가장 아픈부분만 포스팅하고 뉴스밸리 인기글로 오르고......more

Tracked from capcold님의 블로그님 at 2007/07/27 12:19

제목 : 언론을 뒤져보자: 인질과 몸값 정책
!@#… sonnet님이 올려주신 유럽 국가들의 돈주고 인질 구출하기 전략에 대한 포스트를 보고, 이왕 말 나온 김에 약간 더 찾아보고 싶어졌다. 과연 다른 나라들은 이런 인질극의 와중에서 &#82......more

Tracked from alchemist fo.. at 2007/09/13 17:05

제목 : 프랑스,독일,이탈리아 인질석방에 거액의 몸값을 지불..
프랑스,독일,이탈리아 인질석방에 거액의 몸값을 지불(재탕)...more

Linked at 도야지의 잡담 : 선진국, .. at 2007/07/27 09:42

... 프랑스,독일,이탈리아 인질석방에 거액의 몸값을 지불(재탕)sonnet님 이글루에서 트랙백...그냥 자신의 머리속에 있는 말들을 객관적인 자료가 있는 것처럼 말하는 경우가 있다. 뭐... 자신의 말을 ... more

Linked at capcold님의 블로그님 .. at 2007/07/27 12:19

... 돈주고 인질 구출하기 전략에 대한 포스트 ... more

Linked at a quarantine sta.. at 2007/08/07 15:33

... 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 말은 한국 정부가 아프간의 비극에 일조하게 된다는 말과 같다. 설마 그정도까지 하겠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유럽 정부들이 인질의 몸값으로 뿌려댄 금액을 생각해 볼 때, 이런 사태가 몇 차례 반복될 정도라면 차라리 현지의 실력자들에게 현찰박치기를 해두는 것이 훨씬 저렴하다는 판단이 설만하다. 한 ... more

Linked at Kind of Blue, an.. at 2007/08/25 18:21

... 해지겠죠.정부나 외교당국이 생각보다 일을 잘 하는 편인 것 같습니다. 이렇게 짧은 기간 내에 풀려나기가 힘든데 말이죠.아마도 순명님의 글 ( http://sonnet.egloos.com/3304582 )에서 보듯이 정부가 대놓고 밝히진 않아도 몸값을 제법 주었을 것 같습니다.그나저나 사우디아라비아가 중재해줬다라...... ... more

Linked at a quarantine sta.. at 2008/01/01 23:19

... (추천 26)이스라엘의 시리아 폭격사건 분석 (추천 27)마키아벨리의 교훈 (추천 37)소중화 모델 (추천 27)프랑스,독일,이탈리아 인질석방에 거액의 몸값을 지불(재탕) (추천 48)내가 보는 저작권의 문제점 (추천 38)캐스퍼 와인버거의 강아지 구하기 (추천 28)하드커버 대 페이퍼백&nb ... more

Commented by at 2007/07/26 21:54
4월인가, 프랑스 인질(구호요원)이 아프간에서 잡혔을 때 1, 2개월 사이에 차례로 석방됐지요. 당시 탈레반은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이 철군을 '심각히 고려'하겠다고 해서 석방했다" 웃기지도 않지요.. 지역 토호(원로)들을 통해서 거액의 몸값이 전해졌을 것으로 봅니다. 원로들도 '운반비' 좀 챙기겠죠? 이번에는 미리 몸값 얘기가 샌데다 우리 장관이 '돈'이라고 쓴 메모까지 공개가 돼서.. 이렇든 저렇든 국가 이미지가 상당히.. 그렇게 됐습니다.
Commented by 이녁 at 2007/07/26 22:11
누구지... 선진국에서는 결코 테러와 협상을 하지 않는다고 일러준 분들은-_-;;
Commented by 하이버니안 at 2007/07/26 22:44
납치 대처법에도 영미식 모델과 유럽식 모델이 있었군요. 유럽은 관대합니다~?
Commented by 행인1 at 2007/07/26 23:41
인질문제 관련해서 각종 글들을 보다보면 국내문제에서는 "냉철한" 현실주의를 주문하던 사람들이 해외문제에는 "열혈" 원칙주의자가 되는 사례가 많다는 겁니다.
Commented by 屍君 at 2007/07/27 00:08
이녁님 말씀에 매우 공감합니다. 독일더러 인질이 잡혔는데도 가만히 있다고, 역시 선진국 스럽다, 대인배다 했던 분들 얼굴 좀 보고 싶을 정도입니다.

....하여튼 전 이번 사태를 보며 우리나라 언론에 대해 실망 참 많이 했습니다. 독일처럼 말을 아끼는 식의 보도를 해야 하는데 이거는 뭐 있는 대로 왁 터트리고 있으니 말이죠;
정부가 너무 저자세로 나간다 어쩐다 해도, 제가 정부라도 그럴 것 같습니다. 이미 다 언론에 새버려서 뻥카 칠 게 없으니 말이죠;;;
Commented by weed at 2007/07/27 00:21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대인의 글을 이오지마에 추천하였사옵니다...orz
Commented by 바람처럼 at 2007/07/27 00:21
몸값 이야기가 나와버린 이상 우리 정부는 구해온다 해도 명분과 실리 둘 다 잃은 셈이죠. NCND를 지키지 못한거죠. 뭐 정부에게 협상에서의 최대한의 자유를 허용해 주는 모습이 있었어야 하는데 출처확인도 안되는 외신이나 받아다 돌리며 지레 다그치고 몰아대는 언론이라 칭하는 사냥개들만 있었으니 당연한 일같기도 합니다만...
뒷돈을 찔러주더라도 부인할 여지가 있어야 제2의 시도를 부르짖고 있는 모집단이 다시 곤경(?)에 처해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텐데 돈으로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였으니 재발하면 국내든 국외든 닥치고 '돈'소리 나오겠네요..
Commented by bangdoll at 2007/07/27 00:27
선진국은 테러와 협상치 않는다라고 주장한분 많습니다.
하지만 그분들도 뒷구멍으론 할수있다라고 하기도 했습니다.(제눈에만 보였나요?)

이번경우엔 바로 대통령이 이야기하고, 나라가 들썩이니까 정부가 너무 표면에 나서는
느낌이라 걱정하는 거라고 봅니다.

저만 그런걸 본건지, 그렇게 보인건지 모르겠지만 `공식적으론 협상하면 안된다, 하지만
뒷구멍으로 협상해서 구해오는건 역량이다' 라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물론 이 견해를 제대로 펴기도전에 잔인한 파시스트로 몰려 진창이 되버린 것도 많았지만.
Commented by Ladenijoa at 2007/07/27 00:40
쿨럭 대제폐하의 글이 이오공감에 올라왔...(...)
Commented by 미친고양이 at 2007/07/27 04:04
선진국은 테러와 협상하지 않는다는 메아리가아아아아아아~~~~ orz.
Commented by 인형사 at 2007/07/27 04:47
전쟁이 생산적 경제활동일 수 있었던 시기에 몸값은 전쟁의 중요한 요소였지요. 영어에서 엄청난 양의 돈이란 뜻으로 King's ransom이란 표현이 있듯이 왕도 포로로 잡히면 몸값을 주고 풀려났지요. 사자왕 리처드도 독일에서 포로로 잡힌 후 몸값을 주고 풀려난 경우가 있고, 세익스피어의 헨리 5세에서도 병사들이 프랑스 귀족을 포로로 잡고는 몸값을 받아 부자가 될거라고 좋아하는 장면이 있지요.

탈레반 처럼 저항조직이라면 세금 걷어 지원해 줄 국가조직도 없을 것이고 외국의 지원도 변변치 않다면 결국 전쟁 자체를 경제적으로 생산적인 활동으로 만들어야만 오래 지속할 수 있겠지요. 그 이전에 아프간 같은 부족사회라면 몸값의 전통이 아직 사라지지 않고 유지되고 있었을 수도 있겠지요.

그러고 보니 몸값이 더이상 전쟁의 정당한 일부가 아니라고 보기 시작한 것이 언제 어떤 이유에선지가 궁금해지는군요.
Commented by 인형사 at 2007/07/27 05:20
위키를 잠깐 찾아보니 중세의 기사들이 문장을 사용항 이유중에 하나가 자신은 몸값을 받아낼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을 광고하여 상대가 자신을 죽이기 보다는 포로로 잡도록 하기 위해서였다는군요.

그러니 몸값을 안주면 인질을 잡지 않는다가 아니라 그냥 죽여버린다가 정답일 수도 있겠군요.
Commented by DECRO at 2007/07/27 06:32
선진국은 테러와 협상하지 않는데요~~~~ 아직도 저 울리는 메아리는 들리지만, 외치던 자는 어디로 숨었느뇨.
Commented by 스카이호크 at 2007/07/27 07:21
협상을 '공식적으로는' 안하는 거겠죠.
Commented by 라피에사쥬 at 2007/07/27 09:10
'인질들 목숨 내줄 것을 각오하고 모든 협상을 거부해야만 납치가 계속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가 아주 설득력이 없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우리가 중국이나 러시아가 아닌 이상 어려운 일이죠[..]

(러시아 역시 체첸에서 초기에 체첸측에 잡힌 포로들을 '납치된거야!'를 외치다가 체첸측이 포로들을 싹다 썰어버리는 것을 보고 나서야 포로교환을 시작 -_-;;)
Commented by 우마왕 at 2007/07/27 09:21
인형사// 귀족들에게서 몸값을 받지 못하게 만든 최초의 시도가 바로 그 헨리 5세가 아장쿠르 전투에서 내린 명령때문입니다. 귀족들이 저항했지만 평민 병사들에게 명령을 내려 모두 죽여버렸죠. 뭐 사실 포로지키는 전력까지 끌어다 쓸 정도로 급박한 전황때문이었습니다만... 아무튼 몸값을 못 받으면 노예로 팔던지, 아니면 죽이던지...겠지요.
Commented by 레놀도야지 at 2007/07/27 09:26
트랙백 신고드립니다...궁금증 하나가 풀렸습니다.
Commented by 기린아 at 2007/07/27 09:50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sid=E&tid=3&nnum=349873

보니까 미국은 현재 '공식적'으로 협상할수 있게 되어 있군요. 95년까지는 협상하지 않는다가 원칙에 있었는데, 지금은 폐기되고, 대신 인질의 안전이 확보되면 빠르게 작전을 수행하여 잡는다, 가 원칙인 것 같습니다.
Commented by Ha-1 at 2007/07/27 12:52
이젠 협상파와 반대파의 전쟁으로 옮겨가는군요 -_- 서로를 버로우시키기.

이래서 여러 가지 자료들이 추가되는 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보긴 하지만.. (봉사가 아니라 선교라는 근거도 '발굴'되었죠 흠..)
Commented by monsa at 2007/07/27 12:57
개인적으로는 어떤 사람이 납치 되었을때 얼마가 지불되었는지가 더 궁금하군요.
인질의 중요성과 금액과 상관관계는 없는건가요?
Commented by umberto at 2007/07/27 14:36
그런데 문제는 돈을 지불할 것이냐, 안 할 것이냐가 아니고... 협상장에 나오는 놈들이 몇놈이냐도 확실치 않은데다 포로석방까지 요구하고 있는뎁쇼. 순수한 돈문제라면 협상에 이렇게까지 복잡해지지 않았겠죠.

핵심은 우리가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완전히 상반된 이해관계를 가진 탈레반과 미국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는 것이죠. 그런데 이 세가지 조건을 만접시킬 접점을 찾기가 정말 어렵군요. ㅠㅠ sonnet님이 말씀하신 아프간 정부에 대한 차관지원이나 미국과의 파병연장 거래 정도로는 상대국들이 만족을 못하나 봅니다.
Commented by sonnet at 2007/07/27 20:18
펄/ 아마도 그렇겠죠. 하여간 이번 메모 사진은 정말 특종이더군요. 소개해주신 것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이녁, DECRO, 미친고양이/ 명분상으로는...

하이버니안/ 사실 영미라고 모든 게 깨끗하다고 보긴 힘들겠죠. 저 악명높은 이란-콘트라 처럼 적에게 무기를 주고 협상한 사례도 있으니까요.

행인1/ 포로는 포기한다.. 같은 개념은 냉철하지 않습니까 (쓴웃음)

屍君/ 한국 사회가 아직 인질극을 많이 당해 보지 못해서 어설픈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런 것도 사고치고 욕먹고 하면서 조금씩 발전하는 법이니까요. 그리고 지금 20여명은 정말 많은 겁니다. 정부도 1-2명과 똑같이 다룰 수 없는게 당연하지요.

weed/ 아니 뭐... 올라가야 한다면 올라 가야지요. 지가 어쩌겠습니까(씁)

바람처럼/ 그렇다고 결백을 입증하기 위해 협상포기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말이죠.
사실 인질이 잡혔다는 건 이미 봉이 된거라서 별 뾰죽한 도리가 없다고 봅니다. 인질이 잡힐 일이 없도록 stealth든 scorched earth든 예방에 주력해야 할 텐데, 개선이 잘 될지 모르겠습니다.

bangdoll/ 사실 대통령이 나서는 것은 좋지가 않습니다. 이란 인질사건의 카터나, 이란-콘트라 때의 레이건처럼 대통령이 다치면서 국내정치가 혼란에 빠질 염려가 충분히 있기 때문이지요.

Ladenijoa/ 흐. 살다 보니.

인형사/ 사실 콜롬비아의 FARC처럼 처음에는 혁명 구호로 시작했다가 이제는 본업이 혁명인지 아니면 몸값벌이와 마약거래인지 불분명해질 정도로 진화한 존재들도 있으니까요. 소련 붕괴 당시에 후원자가 사라지면 소멸할 좌파 나부랭이 정도로 이들을 취급했던 분석가들이 많이 물을 먹었죠.

스카이호크/ 예. 맞는 말씀입니다.

라피에사쥬/ 그게 바로 우리 체제의 약점입니다. 민주정체는 약점도 많은데 이런 게 바로 전형적인 약점 중 하나 아니겠습니까?

레놀도야지/ 예. 감사합니다.

기린아/ 미국은 전세계에 발이 넓어서 적도 많은지라 실용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생각합니다.

Ha-1/ 오. 그럼 다음번엔 반대 진영에 무기를 공급해야 되는 겁니까?

monsa/ 저도 흥미있는 부분입니다만, 사실 제가 알고 있는 몇몇 사례만 갖고 보기로는, 당사자가 개인적으로 아주 부자가 아닌 이상 별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저 기사 정도의 금액을 준다면 엄청난 장사일 것 같습니다. 대충 평균 5백만불 잡고 20명이면 1억불(나머지는 덤)... 엄청나지 않습니까?

umberto/ 아니 아직 몇일 지나지도 않았는데 벌써 속단하긴 이르지 않겠습니까? 한 150일쯤 끌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것 같은데요.
Commented by Cuchulainn at 2007/08/02 01:12
한가지 궁금한건, 일단 표면적으로는 협상불가를 외치면서 뒷거래로 돈을 넘겨주던가 해서 인질들을 구출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가 아니었나 싶은데요. (적어도 저는 그렇게 알고 있었습니다만 - 따라서 테러리스트랑 거래 안해 이래놓고 진짜로 씹은 미국놈들이 약간 또라이가 아닌가 하고 생각을 했었습니다만) 제가 잘못 알고 있던건가요?
Commented by sonnet at 2007/08/02 21:10
Cuchulainn/ 미국도 이란-콘트라 사건처럼 인질구출과 관련해서 비밀리에 적성국에 무기를 넘겨준다든가 하는 일을 벌인 적이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은 사실 어떤 일관성이 잘 지켜지지 않고 그때 그때 상황 담당자나 정치지도자의 사고방식 같은 것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예겠지요.

:         :

:

비공개 덧글

<< 이전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