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전에서 러시아제 장갑차량의 취약성: 체첸의 경험필자: Lester W. Grau (Foreign Military Studies Office, Fort Leavenworth)
출처: Red Thrust Star 1997년 1월
1994년 12월, 러시아군은 연방에서 이탈한 체첸 공화국을 침공, 그대로 진격하여 체첸 수도 그로즈니를 포위하려고 시도했다. 이 시도가 실패한 후, 러시아군은 최종적으로 이 도시를 점령할 때까지 신중히 한 집 한 집 소탕을 했다.[1] 의기소침한 러시아 징집병력은 더 원숙하고 열성적인 체첸군에게 호되게 경을 치렀고 전쟁은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분쟁의 첫 달 동안 러시아군은 수리 불가능한 전투손실로 225대의 장갑차량을 잃었다. 이것은 전역에 초기 투입된 장갑차량의 10.23%에 달한다.
러시아인들은 이들 225량의 차체를 Kubinka 시험장으로 후송하여 분석하였다. 1995년 2월 20일, 기갑국 국장인 A. Galkin 소장은 이 조사결과를 발표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했다. 국방장관도 회의에 참석했다.[2] 회의 결과는 러시아 국방장관으로 하여금 가스 터빈 엔진을 장비한 전차의 취득을 중단하게 만들었다.[3]
아울러 이 분석은 체첸 대전차 전술과 시가전에서 러시아 장갑 차량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체첸 대전차 전술체첸군은 소련과 러시아제 무기로 무장하고 있고, 대부분의 체첸 병사들은 소련군에서 복무하였다. 15-20명으로 구성되는 체첸 하급 전투그룹은 다시 3-4명 1조로 이루어진 전투세포로 나뉜다. 이들 세포들은 대전차사수 1명(보통 RPG-7이나 RPG-18 견착 대전차로켓으로 무장), 기관총 사수 1명, 그리고 저격수 1명으로 구성된다.[4] 추가적인 인원은 탄약을 운반하거나 보조 사수 역할을 한다. 체첸 전투그룹은 이들 세포를 대전차 헌터-킬러 팀들로 배치했다. 대전차사수가 장갑 표적과 교전하는 동안, 저격병과 기관총 사수는 지원 보병을 고착시킨다. 팀들은 지하, 1층, 2층, 3층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다섯이나 여섯 헌터-킬러 팀이 동시에 한대의 장갑차량을 공격한다. 치명타는 일반적으로 차량 상부, 후면과 측면에 대해 이루어졌다. 또한 체첸인들은 화염병을 차량 상부에 투척했다.[5] 체첸 헌터-킬러 팀은 시가지 도로상의 차량 종대를 함정에 빠뜨리려고 시도하였다. 대열 선두와 후미의 차량을 파괴함으로서 종대를 함정에 빠뜨리면, 전멸로 연결시킬 수 있다.
러시아 전차 주포는 지하실과, 2, 3층에 자리 잡은 헌터-킬러 팀에 대처하기에는 앙각과 부각이 부족했고, 대여섯 팀으로부터의 동시공격은 탱크 기총의 유효성을 무력화하였다. 러시아군은 장갑차량 종대에 ZSU 23-4와 2S6 트럭 탑재 대공포를 붙여, 상대하기 곤란한 이들 헌터-킬러 팀들에 대응하였다.[6]
초기 러시아군 차량 손실은 부적절한 전술, 적군의 과소평가, 전투태세의 미비가 겹친 데 따른 것이었다. 러시아군은 그로즈니를 포위하여 증원군을 차단하지 않은 채로 그로즈니로 돌입했다. 그들은 하차하지 않은 채 행군하여 들어가 도시를 탈취할 생각이었다. 병력 부족 때문에 러시아군 종대 들은 혼성 부대로 구성되었고 대부분의 병력수송차는 거의 하차하지 않은 채로 이동했다. 이들 최초의 종대들은 학살당했다.
러시아군이 재편성됨에 따라 그들은 더 많은 보병을 데려왔고, 한 집 한 집, 그리고 이 블록에서 다음 블록으로 도시를 통과해 체계적인 진격을 시작했다. 러시아군이 전술을 변경하자 장갑 차량의 손실도 감소했다. 러시아 보병이 선도해 이동하고 장갑 전투 차량은 지원이나 예비가 되었다. 몇몇 러시아 차량은 몰로토프 칵테일이나 폭탄 뭉치로부터 차량을 보호하는 한편 대전차유탄발사기의 성형작약을 막아내기 위해, 동체장갑으로부터 25-30센티미터 떨어뜨려 철망 울타리를 둘러쳤다. 러시아군은 선택된 지역의 접근로 상에 매복한 후, 체첸 헌터-킬러 팀들을 격파하기 위한 미끼로서 차량들을 돌입시키기 시작했다.[7]
러시아 장갑차량의 취약점들견착 대전차무기와 대전차유탄이 막대한 양의 장갑차량을 주저앉혔고, 격파된 차량 각각은 평균 세 발에서 여섯 발의 치명타를 맞았다.[8] 체첸 대전차사수는 연료탱크와 엔진을 노리는 것을 선호했다. 다음 그림의 회색 부분들은 90%의 치명타가 일어난 지점을 나타낸다.
BMD-1은 공수부대에 배치된 병력 수송차이다. 따라서 이 차량은 장갑이 얇다. 이 차량은 정면, 후면 측면과 상면이 취약하다. 포탑의 정면은 보강되었기 때문에 괜찮지만, 포탑의 뒤편은 취약하다.
다음은 보다 두꺼운 장갑을 가진 BMP-2 보병전투차이다. 여하튼 이 차량의 상면 장갑은 약하고, 뒷문 안에 있는 연료탱크와 조종수 구역이 취약하다.
BTR-70 장륜 장갑병력수송차는 BMD나 BMP와 동일한 취약점들을 여럿 보여준다.
체첸에서의 전투 첫 달에 62대의 전차가 파괴되었다. 98% 이상(약 61대의 차량)은 반응장갑으로 보호되지 않는 구역에 명중한 탄에 의해 격파되었다. 러시아군은 체첸에 T-72와 T-80 전차를 배치하였다. 전면은 장갑이 두껍고 반응장갑으로 덮여있기 때문에, 이들은 둘 다 전면 피탄에 대해 취약하지 않았다. 치명타는 반응장갑이 없는 지점들 -측면과 후면 그리고 상면, 조종수 해치와 포탑 후면, 리어 데크- 에서 이루어졌다. 분쟁 초기에, 대부분의 러시아 전차는 반응장갑을 장치하지 않고 전투에 투입되었다. 이들 전차는 반응장갑이 없으면 피해를 주거나 치명적인 정면 타격에 특히 취약했다.[10]
결론체첸군은 대도시의 거리에서 러시아군의 장갑차량들을 격퇴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술을 발전시켰다. 그들의 전술 중 많은 것들은 시가전에서 러시아제 장갑차량(혹은 다른 유형의 장갑차량)과 맞서게 될 다른 군대에게도 채택될 수 있다.
그 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1. 장갑차량과 동반하는 보병을 제압하여 대전차 사수를 보호하기 위해, 기관총 사수와 저격수를 포함하는 대전차 헌터-킬러 팀을 조직한다.
2. 도시의 빌딩들이 기갑차량의 기동을 제한하고 갈라놓는 지점에 대전차 매복을 실시한다.
3. 차량들을 격멸구역 안에 가둬놓을 수 있도록 매복을 배치한다.
4. 장갑차량과 교전하기 위해 지하실, 1층, 2층, 3층 등에 복수의 헌터 킬러 팀을 이용한다.
RPG-7과 RPG-18 대전차 무기의 문제점은 후폭풍, 발사흔적과 사격간의 시간간격이다. 체첸군은 시간간격 문제를 각각의 목표에 대해 동시에 대여섯개의 대전차 무기로 교전함으로서 해결했다. (시가전을 위한 미래의 대전차 무기의 명백한 요구조건은 막힌 곳에서도 발사할 수 있고 눈에 잘 띄지 않으며, 여러 발 쏠 수 있고, 반동이 적으며 가벼운 무기이다. AT-4와 Javelin은 이러한 요구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5. 장갑표적의 상부, 후면, 측면을 노린다. 반응장갑으로 보호되는 정면 장갑을 향한 사격은 사수를 노출시킬 뿐이다.
6. 따라오는 대공포를 먼저 잡아라.
[1] 러시아 시가전 전술의 변화에 대해서는, Lester W. Grau,
"Russian Urban Tactics: Lessons from the Battle for Grozny(러시아 시가전 전술: 그로즈니 전투의 교훈),"
Strategic Forum, Number 38, July 1995.를 보라
[2] N. N. Novichkov, V. Ya. Snegovskiy, A. G. Sokolov and V. Yu. Shvarev,
Rossiyskie vooruzhennye sily v chechenskom konflikte: Analiz, Itogi, Vyvody(체첸 분쟁에서의 러시아군: 분석, 성과와 결론), Moscow:
Kholveg-Infoglob-Trivola, 1995, 138-139. Sergey Maev and Sergey Roshchin,
"STO v Grozny"(그로즈니 기술 정비 스테이션들),
Armeyskiy sbornik(Army digest), December 1995, 58에 따르면, 같은 기간 동안, 러시아 전방지원정비반은 217대의 장갑차량을 수리하였고, 정비창은 또 다른 404대의 장갑차량을 수리하였다. 이 모두가 전투에 의한 손실은 아니지만, 그로즈니에서의 2개월간의 전투 동안 장갑차량 2221대 중 846대(38%)가 일정 기간 행동불능이었다고 생각된다.
[3] Mikhail Zakharchuk,
"Uroki Chechenskogo krizisa"(체첸 위기의 교훈들),
Armeyskiy sbornik, April 1995, 46.
[4]
"Pamyatka lichnomu sostavu chastey i podrazdeleniy po vedeniyu boevykh deistviy v Chechenskoy Respublike" (체첸공화국에서의 전투에 참가한 각급제대 인력을 위한 지침),
Ameryskiy sbornik, January 1996, 37.
[5] Novichkov, 145.
[6] Ibid, 123.
[7] Sergey Leonenko, "
Ovladenie gorodom"(도시 점령),
Armeyskiy sbornik, 31-35.
[8] Novichkov, 137.
[9] 모든 일러스트는 Novichkov, 140-144에서 가져왔다.
[10] Novichkov, 145.
소련,
러시아,
소련군,
러시아군,
시가전,
전술,
전차,
장갑차,
장갑차량,
대전차,
체첸,
그로즈니,
래스터그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