От Ильича до Ильича
by sonnet 2006 이글루스 TOP 100 2007 이글루스 TOP 100 2008 이글루스 TOP 100 2009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 100 2011 이글루스 TOP 100
rss

skin by 이글루스
이스라엘-히즈불라 전쟁에 대한 레바논의 여론
다음은 전쟁이 한참 진행중이던 7월 24일부터 26일 사이에 Beirut Center for Research and Information이 지역과 인구구성을 고려해 선정한 800명의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이다.










이 설문조사는 레바논 내 히즈불라의 위상과, 이번 전쟁에 대한 각 종파들의 입장을 잘 보여준다.
레바논 국민들은 악명높은 종파주의에도 불구하고 외적 이스라엘을 상대로는 생각보다 훨씬 일치된 입장을 보여주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설문 1-3)

또 한가지 주목할 만한 점은 미국의 일방적인 이스라엘 지지에 대한 레바논인들의 극단적인 환멸이 확인된다는 것이다.(설문 5-6)

1년 전, 미국과 프랑스는 하리리 전 총리 암살사건을 계기로 레바논에 주둔중이던 시리아 군대를 몰아내려는 운동에 나선 레바논 정파들을 '백향목 혁명'(cedar revolution)이란 이름으로 추켜세우면서 후원을 굳게 약속했었다. 이들이 현 집권세력인 '라피크 알 하리리 순교자 동맹'이다.

이들은 지지자들에게 미국의 전폭적인 후원이 레바논의 안보와 번영을 담보해줄 것이라고 약속했었다. 그러나 이번 전쟁으로 이스라엘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이상 미국의 후원이란 것은 휴지조각에 불과하며, 이스라엘의 공격을 받을 경우 이슬람권에서도 오직 시리아(와 이란) 만이 무기와 자금을 대어 적극적으로 레바논을 도와줄 의지가 있음이 확고하게 증명되었다.
한 마디로 레바논 집권연정은 개망신을 당했다. 후원자라던 미국은 적의 편을 들고, 정부군은 자기 영토를 지키기 위해 나가 싸우지도 못했다. 의병은 목숨을 걸고 나가 싸우는데 관군은 얻어터질까봐 두려워 출진도 하지 않은 셈이다.

죽은 라피크 하리리는 레바논 수니파의 거두였다. 중동 전체를 통틀어 봐도 부귀영화 외에는 관심이 없는 부패한 왕족이나 장기집권중인 철권 독재자를 제외하면, 선거로 권력을 쟁취한 (준 민주적) 무슬림 정치세력이 미국과 손잡은 경우는 레바논이 유일했었다. 즉 레바논은 미국의 중동민주화 정책의 유일한 교두보였다.
그러나 이번 전쟁으로 레바논의 친미세력은 파멸했다고 봐도 좋다. 미국이 레바논에서 작년과 같은 지지기반을 되찾으려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인다 하더라도 20년은 족히 걸릴 것이다.

그리고 그 빈 자리는 히즈불라가 메울 것이다. 이것이 중동의 정치분석가들이 이구동성으로 히즈불라가 정치적으로 엄청난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by sonnet | 2006/08/25 09:46 | 정치 | 트랙백(1) | 덧글(8)
트랙백 주소 : http://sonnet.egloos.com/tb/2653082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Tracked from Clock of the.. at 2006/08/25 12:27

제목 : 전후 엇갈린 명암
이스라엘-히즈불라 전쟁에 대한 레바논의 여론 http://news.kbs.co.kr/article/world/200608/20060813/1203075.html <a href="http://www.y......more

Commented by Eclipsia at 2006/08/25 11:04
5,6번 설문결과가 아주 인상적이군요.
Commented by 슈타인호프 at 2006/08/25 11:53
결국 미국이 자초한 결과죠 뭐. 미국이 정말 레바논을 잡고 싶었다면 레바논 측에 인간방패라도 제공했어야 할 겁니다. 이스라엘군 폭격에 날아간 유엔 감시단이 미국인만 한 50명 됐으면 레바논이 "보다 덜" 유감을 가졌을지도?
어쨌든, 중동에서 대결은 더 치열해질 밖에 없겠군요.
Commented by sonnet at 2006/08/25 12:14
Eclipsia/ 제가 생각해도 좀 심하게 했습니다.

슈타인호프/ 사실 자초하기로 따지면 집권세력인 '라피크 알 하리리 순교자 동맹'이 줄을 잘못 선게 제일 크다고 봅니다. 이스라엘과 미국의 특수관계(?)는 세상이 다 아는 일인데, 자신들이 무슨 용가리 통뼈라고 미국이 자기들 손을 들어줄거라고 생각했을까요?
죽은 라피크 알 하리리의 아들 사드 하리리는 조낸 무능한 놈이 틀림없다고 확신합니다.
Commented by 슈타인호프 at 2006/08/25 14:27
sonnet//아마 레바논 산맥에 남아공만큼 많은 다이아몬드라도 묻혀 있다고 확신했는지도 모르지요(먼산)
Commented by 라피에사쥬 at 2006/08/26 01:58
역시 지노(知 no)지노(知 no)면 백전만태인걸까요.. 대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길래 미국이 자신들을 지지해주리라 믿은건지.. 자기네 앞바다에서 펼쳐진 리버티호사건을 미정부가 얼렁뚱땅 넘어간 역사에서 전혀 배운게 없는걸까나[..]
Commented by sonnet at 2006/08/26 17:19
슈타인호프/ 있다면 두개골 아닐까요. 옛날부터 그 지역은 종교박해를 피해 도주해 온 소수파들이 많았고, 개중엔 끝까지 추적당해 도륙당한 사례도 많아서...

라피에사쥬/ 이번에 레바논에서 벌어진 UN군 초소 폭격사건이 리버티 사건과 굉장히 유사합니다.

"Why would the IDF attack a UN observer post? Who, in their right mind would think such a thing," says Gellerman, Israel's UN ambassador." An Irish Army captain assigned to UNDOF or UNIFIL answered the question succinctly in a television interview this morning. "We are the Secretary General's eyes and ears," he said.
Commented by 아텐보로 at 2006/08/26 20:33
중동에 이스라엘이 존재하고 있는한 미국이 중동에서 친미국가 만들기는 어려울것 같군요;;
Commented by sonnet at 2006/08/27 13:45
아텐보로/ 친미국가는 만들 수 있는데, 그게 국민의 열망을 무시하고 만들어야 하니까 늘 독재자 아니면 왕국일 수밖에 없는 것.

:         :

:

비공개 덧글

<< 이전 다음 >>